멋쟁이사자처럼

Recording/멋쟁이사자처럼 BE 13기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 BE 13기_3일차_'배열과 객체'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3]일차🚀3일차에서는 기본 배열부터 다차원 배열, Arrays클래스 등과 객체에 대한 용어들을 배웠습니다!❓문자열 더하기문자열과 더해지면 문자열이 됩니다.문자열 + 정수 = 문자열 >> hello1문자열 + 불린 = 문자열 >> hellotrue문자열 + 실수 = 문자열 >> hello50.4String str1 = "안녕";String str2 = "하세요";int i = 50;char a = 'a';double d = 5.0;boolean flag = true;String str3 = str1 + i; // 이 경우에도 i는 문자열로 포함이 된다.// 문자열 + 문자열System.out.println(str1 + str2);// 문자열 ..

Recording/멋쟁이사자처럼 BE 13기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 BE 13기_2일차_'자바 기초와 문법'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2일차🚀2일차에서는 "자바의 기초"를 좀 더 다지고 과 "자바의 문법" 등을 배웠습니다📖❓main메소드main메소드가 포함된 클래스는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의미합니다.시작점은 한 곳이듯 다른 클래스들이 만들어져도 그 클래스들을 가져다 쓸 main메소드는 프로그램에서하나만 존재해야합니다. 이 main메소드가 포함된 클래스는 JVM(자바가상머신 Java Virtual Machine)이 사용하는데,이 JVM은 같은 패키지도 아니고, 자식클래스도 아니기때문에 접근제한자를 public으로 지정해주어야합니다.public class MyInf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

Recording/멋쟁이사자처럼 BE 13기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 BE 13기_1일차_'자바 기초'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 에 합류하여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TIL 회고를 작성해나가고자 합니다! 😉🚀본격적인 1일차에서는 "자바 탄생 배경"과 "자바의 기초"등을 배웠습니다📖자바가 만들어질때 인기있는 키워드는 “인공지능” 이었습니다.인공지능이라고해도 가전제품에 프로그램을 넣어보겠다는 시도에서 발생한 키워드였습니다.가전제품에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빨리 개발해야 했습니다.이미 만들어진 객체들(=물체들)을 가져와 쓰는 즉, “재사용”이 필요했을 겁니다.이것이 바로 "객체지향언어"인 자바의 특징입니다.제품에 빠르게 프로그램을 탑재하기 위한 목표로 인해(네트워크에 강해졌고, 재사용성이 중요해졌으며, 플랫폼에 독립적)이었습니다.JVM (자바 가상 머신 Java Vi..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마무리🎆] [메이플스토리 Worlds] <최종 슈퍼해커톤>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작년에 진행하였던 슈퍼해커톤 회고록의 마지막을 작성하게되었다. 5주차가 끝난 이후로는 미니과제가 없었으며, 팀원들 간 지속적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해나가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무기 디자인이나 인스턴스 맵의 출현 조건 등을 손보던 중 어느덧 슈퍼해커톤 날이 다가오고 있었다. 프로젝트 기간동안 팀원끼리 거리가 조금 있었기 때문에 일정을 맞춰 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 MSW에서 공유오피스를 열어주어 팀원 간 오프라인으로 모일 수 있게한 일정이 있었다. 팀원과의 상의 끝에 시간을 맞춰 예약을 해놓았다. 신촌의 공유오피스에서 만날 수 있..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메이플스토리 Worlds] <중간 만족도 설문조사>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어느덧 한 달이 지나고 프로젝트 기간의 중간까지 오게되었다.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려 과제도 열심히 참여하고 외부강의, 공식강의, 공식문서를 시간날때마다 들여다봤던 것 같다. MSW에서 5주차 추가 과제로 '중간 만족도 설문조사'를 내주었다. 1. 학습이나 미션을 수행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ex. [네번째 미션] 공동월드를 구현할 때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어려웠는데, 어느 부분을 참고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 실습 교안들이 MOD 구성원들에게 도움이 되어야하는데 크게 항목을 지어서 설명이 되어있다보니 세부적으로 '왜 이렇게..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메이플스토리 Worlds] <5주차>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번 주차는 프로젝트의 기획안을 상세화하여 문서로 작성하고 제출하는 과제였다. 지금까지는 대강 머릿속에 있는 구상으로만 진행했다면 공식적으로 맵의 방향,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콘텐츠 요소 등을 팀원과 상의 후 갈피를 잡는 것이었다. 아직 프로젝트의 제목도 정하지 못했고, 장르도 정하지 못하였다. 팀원들 개개인이 생각했던 프로젝트들을 서로 공유하고 그 중 가장 재밌어보이거나 추후 콘텐츠 요소가 많아질 수 있는 팀원의 "열린 프로젝트"를 택하려고 했던 것 같다. 내가 제출했던 육성 MMORPG 장르의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기간이 짧은 것에 반해 만들어야할 ..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메이플스토리 Worlds] <4주차>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번 주차는 공식MSW문서에 등록된 미니프로젝트들을 따라 만들어보는 과제였다. 디펜스게임, 물이 차오르는 점프맵, 슈팅 게임 등이 난이도 별로 강의에 등록되어있었다. 우리 그룹은 물이 차오르는 점프맵을 기획하여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기존 강의에서는 '커닝시티'맵을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요구사항은 이러하였다. 1. 맵에 물이 밑에서 위로 점점 차오른다. 2. 캐릭터가 물에 닿으면 수영하는 모션을 취해야한다. 3. 물에 닿게되면 산소게이지 UI가 출력되어 물에 닿아있는 시간동안 산소게이지가 감소해야한다. 4. 산소게이지가 모두 소모되면 HP가 감소하거..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메이플스토리 Worlds] <3주차>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번 주차는 유튜브 '조코딩' 채널을 통해 간단한 게임 로직에 대해 학습하고 첫 게임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그룹월드는 저번 주차에 만들었으니 이번에는 개인 월드에 테스트하여 메이플스토리 월드 엔진의 컴포넌트와 클래스, 리소스 시스템에 익숙해지는 것이 목표였다. 3주차 과제로 유튜버 '조코딩' 님의 강의를 수강하여 공부해보고, MSW에서 만든 본 강의를 수강하는 모습을 캡처하고 그 후기를 작성해 제출하는 것이었다. 메이플스토리 월드로 누구나 쉽게 실전 수익형 게임 만들기 이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 모드'와 '일반 모드'로 나뉘는 것을 알 수 ..

Recording/메이플스토리 Worlds - SuperHackathon

[메이플스토리 Worlds] <2주차> 회고

2022.09.07 ~ 2022.12.16 까지 약 3개월동안 진행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X 슈퍼해커톤 2022" 프로젝트에 대해서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번 주차는 월드 만들기를 통해 메이플스토리 월드 만들기를 경험해보고 간단한 기능을 구현해보는 것이었다. 2주차 과제는 해커톤에서 가장 중요한 매칭된 팀으로 '그룹'을 만드는 것이었다. 메이플스토리 월드 플랫폼에서 팀원들을 친구추가하고 '그룹'을 만들어 그 추가된 친구들을 그룹원으로 초대해야하는 것이었다. 첫 주차가 어색한 인사로 마무리되고 드디어 본격적인 협업을 하는 과정이었다. 1주차부터 과제내용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회의하고자 하는 적극성때문인지 팀장은 자연스럽게 내가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그룹명은 배정된 팀 이름으로 만들고, 그룹 월드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