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

Recording/멋쟁이사자처럼 BE 13기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 BE 13기_33일차_"스프링 DI/IoC"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33]일차🚀33일차에는 스프링에서의 DI (의존성 주입)과 IoC (제어의 역전)를 배우고 이를 활용하여 Bean 생성, @Component 등을 접할 수 있었다.개념들에 대한 이해는 할 수 있었지만 이를 활용하여 Bean을 생성하고 활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서 회고를 통해 많이 배워야겠다.스프링 어노테이션(@)POJO기반으로써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높인다.즉, 종속되어 있어 결합도를 높이는 상속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속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어노테이션 사용ex. @GetMapping : @RestController의 자손 격 어노테이션으로 URL 요청이 들어오면 컨트롤러의 클래스를 찾아서 가져와 사용ex. Ge..

Recording/멋쟁이사자처럼 BE 13기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 BE 13기_32일차_"스프링 프레임워크"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32]일차🚀32일차에는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에 대해 배워보고,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 등의 차이점에 대해서 토론해볼 수 있었다.회고를 통해 개인적으로 이해한 부분을 좀 더 정리해봐야겠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동적 웹 사이트 개발을 위한 서비스 제공package com.example.hellospring.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RestControllerpublic class HelloCon..

Programming/Spring_스프링

[스프링] 2. STS 설치 및 멀티스레드 (MultiThread)

1 ) 전역변수 = 스택프레임에 독립적임 = 코드 어느곳에서나 접근 가능 = 공유변수 라고도함 Q) 왜 전역변수 사용을 지양해야할까? >>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코드가 커지면서 여러 메서드에서 전역 변수의 값을 변경하기 어렵게되면 메모리로 추적하지 않는 이상 전역 변수에 저장돼 있는 값을 파악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역변수의 사용은 피해야하지만, 다만 읽기 전용으로 값을 공유해서 전역 상수로 쓰는 것은 추천. 대표적인 전역 상수는 원주율을 나타내는 PI값 이 값은 Math 클래스에 이미 정의 되어있다. System.out.println(Math.PI); 로 확인가능 2) 지역변수 = 스택프레임에 종속적임 1. 멀티스레드 멀티스레드의 T메모리 모델은 스택 영역을 "스레드 개수"만큼 분할해서 쓰는..

Programming/Spring_스프링

[스프링] 1. 프로젝트 생성 및 메모리 구조 확인 (2)

이번에는 전역변수를 만들었을때의 T 메모리의 구조 변화이다. 전역변수는 static 예약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값은 전역변수 즉 클래스 안에서 어떠한 메서드에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public class test_static { static int shar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hare = 55; int k = fun(5, 7); System.out.println(share); } private static int fun(int m, int p) { share = m + p; return m - p; } } 여기서 share = m + p; 부분에 breakpoint를 걸고 Debug해보았다. 먼저 Window -> Show..

Programming/Spring_스프링

[스프링] 1. 프로젝트 생성 및 메모리 구조 확인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STS (Spring Tool Suite)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Spring Framework)를 공부하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Java Web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경량 프레임워크라고 알 수 있었다. 자바를 이용해 Web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인 것이다. 그만큼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방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인 것이다. 자바의 IDE라면 IntelliJ 말고도 이클립스가 대표적일 것이다. 이클립스에서는 STS(Spring Tool Suite)를 제공하는데, 이는 스프링 개발에 최적화된 이클립스이다. 이클립스에 스프링 프레임워크 플러그인 (Spring Framew..

LEFT
'스프링부트'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