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8]일차🚀18일차에는 스레드에 대해 배우면서 단일스레드, 멀티스레드, 스레드의 다양한 메소드 등을 실습해보았다.이번 실습에서는 println() 출력문이 중요한 것 같았다. 스레드의 수행 순서 및 수행 작업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했는데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가장 큰 깨달음은 채팅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A사용자가 입력할 때 B사용자는 무작정 기다리고만 있으면 안된다.동시에 채팅을 입력할 수 있어야하는데 이럴때 멀티스레딩을 하는 것이었다.스레드를 통해 멀티버스와 같이 여러 개의 수행흐름을 만들 수 있다는 것또한 배울 수 있었다.Thread 스레드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최소단위를 의미스레드는 직접구현할 필..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7]일차🚀17일차에는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Java IO에 대해서 배웠다. BufferedReader와 Scanner는 자주 사용해봤지만 BufferedReader사용 시 왜 예외처리를 해주어야하는지, 사용 이후에는 close()를 통해 닫아주어야하는 이유 등에 대해 생각해보지 못했다. 또 다양한 Stream객체가 있다는 것, 각자 다른 일들을 수행한다는 것 등 이번 회고를 통해 몰랐던 부분들을 정리할 수 있게되었다.Java IO자바에서 입출력 담당텍스트문서 읽기, 인터넷에서 데이터 다운로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등Input과 Output으로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데 이들은 “데이터가 이동할 통로”를 가짐이 통로는 “데이터의 흐..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6]일차🚀16일차에는 내부클래스와 제네릭 부분에서 잠깐 배울 수 있었던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자세히 배우게되었다.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각 자료구조마다 다른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서경우에 맞게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 Framework자바에서 데이터 집합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방법 (Collection이라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함으로써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받음)다양한 데이터 구조가 있는데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관리와 접근 방식을 제공일관된 인터페이스(→ Collection)와 제네릭을 제공List 리스트 : 순서 유지 - ArrayList..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5]일차🚀15일차에는 JDBC 사용과 JDBC 문법들, DAO (Data Access Object)와 DTO (Data Transfer Object)를 배울 수 있었다. 사담이지만 DAO와 DTO를 자세히 배우다보니 DDD도 떠오르는데 이전에 대외활동을 진행하면서 MVC패턴, TDD(테스트 주도 개발), DDD (Domain Driven Design)등에 대한 용어를 접했었다. 🥲 👀DDD는 보통 원인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복잡한 문제 상황에서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도메인, 서브도메인, 바운디드컨텍스트 를 구분하고 정의해야한다) 오늘 데이터베이스와 자바를 연결하는 과정이 신기하기도하고 새로운 개념이 많이 등장하여 회고 시간 전까..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4]일차🚀14일차에는 DML (데이터 조작어)를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로 많은 예제를 진행해보았고,DDL (데이터 정의어)를 통해 CREATE, ALTER, DROP 등으로 테이블을 생성해보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볼 수 있었다.DCL (데이터 제어어)는 GRANT, REVOKE 등으로 객체들에게 권한을 설정 및 해제하는 명령이다. TCL (트랜잭션 제어어)를 통해서는 수정했던 사항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것인지를 COMMIT / ROLLBACK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개념적으로는 큰 범주에서 배운 것 같은데 INSERT를 활용하는 방법, CREATE를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예제를 통해 ..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3]일차🚀13일차 MySQL Workbench에서 실습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단일행 함수, 그룹함수, 조인, 서브쿼리 등을 배울 수 있었다.하루만에 많은 개념을 익혀야해서 회고를 정리를 통해 복습해야겠다고 느꼈다.인덱스 Index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내기 위해 "인덱스 사용"고유값이 있으면 그것을 기준으로 트리를 만듦 (ex.작으면 왼쪽, 크면 오른쪽)모든 데이터를 검색해서 찾는 것보다 이렇게 트리구조로 찾게되면 더 빨라질 수 있다.검색 대상에 자주 검색하는 것(ex.컬럼)에 “인덱스”를 만들어두고,인덱스가 걸려있는 컬럼으로 데이터를 찾게 되면 훨씬 더 빠르게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음-- 이러한 방식으로 찾으면 시간이 오래걸릴 것selec..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2]일차🚀12일차 데이터베이스의 설치를 모두 완료하였고, 환경까지 구축하였다.MySQL의 Workbench 편집기를 이용하여 MySQL의 실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다.MySQL에서의 문법과 쿼리문 사용, 특히 SELECT절을 이용해 데이터를 조회하는 연습을 하였다.MySQL Workbench여기서 MySQL Connections 옆 + 버튼을 눌러서 Setup New Connection을 열어줌 Connection Name : root로 지정하여 처음의 권한을 배정하기 위해선 root로 접속Store in Vault.. :root계정으로 접속할 시 docker-compose.yml파일에서 작성했던 root 패스워드입력Test Conne..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1]일차🚀11일차까지 진행하다보니 벌써 2주 정도 지났구나 싶었습니다. 그와 동시에 10일차까지 회고를 진행하면서 내용들을 조금은 장황하게 늘어쓰거나 부수적인 내용들을 더 적지 않았나 느끼기도했습니다.회고에서 조금 더 덜어내는 연습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11일차 수업에서는 저번 주의 내용을 조금 복습하거나 추가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도커 설치 등을 진행하였습니다!데이터베이스실시간 접근성 - 사용자 요구 즉시 처리 가능계속적인 변화 - 정확한 값 유지하기위한 삽입 / 삭제 / 수정 등으로 데이터 지속적 갱신 가능동시 공유성 - 여러사람이 동일 데이터에 접근 가능내용 참조 - 저장한 데이터의 위치,주소가 아닌 데이터내용, 값에 ..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부트캠프 13기 🦁TIL 회고 - [10]일차🚀 10일차에서는 내부클래스와 제네릭,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배웠는데 처음 알거나 중요하게 알아야할 것 같은개념들을 제 나름의 언어대로 적어내려가다보니 정리해야할 회고가 많아졌습니다. 내부클래스와 제네릭에 대해서 깊고 넓게 배우다보니 컬렉션 프레임워크라는 개념이 눈에 안들어왔는데알고보니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자료구조를 의미하고 그 안에 ArrayList는 자주 써봤던 자료구조였습니다.ArrayList의 내부 구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몰랐던 저는 그림판으로 노드도 그려보고 내부 구조에 대해좀 더 잘 알게된 시간이었습니다!👀이처럼 제네릭과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ArrayList 처럼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자료구조를 선언하고 사용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