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팁 데이터들을 data.json(로컬파일)로 관리하였는데, 이는 실시간으로 바뀌어야하는 데이터나 많은 유저들이 접근해야하는 앱 서비스일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굉장히 무거워지기 때문에 파이어베이스라는 서버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지금까지는 프론트엔드(화면을 그리는 것)를 공부했는데, 서버는 백엔드 부분을 다루게됩니다.
앱에서 다양한 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지게 될 때 map 함수로 반복하여 화면에 그렸습니다.
서버를 사용하게되면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앱에 서버 사용>
>> 쉽게 서버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게됩니다. 이는 '서버리스'라고 합니다.
서버리스중에서 가장 유명한 구글에서 제공중인 파이어베이스라는 서버리스를 사용할 것입니다.
<데이터를 서버에 두어서 관리하는 이유>
데이터 요소가 많아질수록 앱 용량이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추가할때 그 데이터를 추가해서 저장하고 다시 배포하는 과정을 거쳐야하기때문에 프로세스가 매우 번거로워집니다. 데이터가 필요할때마다 불러서 사용하는 방식인 서버리스 방식을 사용해보려합니다.
서버리스는 데이터를 생성, 조회, 삭제, 수정 등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버에서 정한 규칙을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라고 하는데,
그 규칙의 형태는 1) 서버가 제공하는 도메인일 수도 있고, 2) 일정한 함수일 수도 있습니다.
서버가 제공하는 도메인의 예를 들어,
naver.com/getdata <- 주소창 뒤에 / (슬래시) 후 붙은 것들이 각각 기능을 하는 API 입니다.
리액트 네이티브로 만든 앱에서 주로 데이터를 준비하는 시점은 useEffect 부분일 것입니다.
>> "앱화면을 켜지자마자 실행되야하는 작업들이 모여있는 곳"
>> 또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에 대해 '찜하기' 버튼이나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눌렀을때 일것입니다.
다음 공부일지에서는 날씨를 불러오는 외부 서버 API를 이용하여 앱 화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파르타 코딩 클럽'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Programming > Javascript_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공부일지] 4주차 - 3 (파이어베이스 가입 및 사용) (0) | 2022.07.05 |
---|---|
[JAVASCRIPT 공부일지] 4주차 - 2 (앱에 날씨 데이터 추가 - 날씨 서버 외부 API 사용) (0) | 2022.07.01 |
[JAVASCRIPT 기초] 자바스크립트 QnA (0) | 2022.06.12 |
[JAVASCRIPT 공부일지] 3주차 - 3 (앱 페이지 - 네비게이터 (Navigator)) (0) | 2022.06.10 |
[JAVASCRIPT 공부일지] 3주차 - 2 (리액트 기초 - 상태바(StatusBar)) (0) | 2022.06.09 |
지금까지 팁 데이터들을 data.json(로컬파일)로 관리하였는데, 이는 실시간으로 바뀌어야하는 데이터나 많은 유저들이 접근해야하는 앱 서비스일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굉장히 무거워지기 때문에 파이어베이스라는 서버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지금까지는 프론트엔드(화면을 그리는 것)를 공부했는데, 서버는 백엔드 부분을 다루게됩니다.
앱에서 다양한 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지게 될 때 map 함수로 반복하여 화면에 그렸습니다.
서버를 사용하게되면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앱에 서버 사용>
>> 쉽게 서버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게됩니다. 이는 '서버리스'라고 합니다.
서버리스중에서 가장 유명한 구글에서 제공중인 파이어베이스라는 서버리스를 사용할 것입니다.
<데이터를 서버에 두어서 관리하는 이유>
데이터 요소가 많아질수록 앱 용량이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추가할때 그 데이터를 추가해서 저장하고 다시 배포하는 과정을 거쳐야하기때문에 프로세스가 매우 번거로워집니다. 데이터가 필요할때마다 불러서 사용하는 방식인 서버리스 방식을 사용해보려합니다.
서버리스는 데이터를 생성, 조회, 삭제, 수정 등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버에서 정한 규칙을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라고 하는데,
그 규칙의 형태는 1) 서버가 제공하는 도메인일 수도 있고, 2) 일정한 함수일 수도 있습니다.
서버가 제공하는 도메인의 예를 들어,
naver.com/getdata <- 주소창 뒤에 / (슬래시) 후 붙은 것들이 각각 기능을 하는 API 입니다.
리액트 네이티브로 만든 앱에서 주로 데이터를 준비하는 시점은 useEffect 부분일 것입니다.
>> "앱화면을 켜지자마자 실행되야하는 작업들이 모여있는 곳"
>> 또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에 대해 '찜하기' 버튼이나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눌렀을때 일것입니다.
다음 공부일지에서는 날씨를 불러오는 외부 서버 API를 이용하여 앱 화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파르타 코딩 클럽'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Programming > Javascript_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공부일지] 4주차 - 3 (파이어베이스 가입 및 사용) (0) | 2022.07.05 |
---|---|
[JAVASCRIPT 공부일지] 4주차 - 2 (앱에 날씨 데이터 추가 - 날씨 서버 외부 API 사용) (0) | 2022.07.01 |
[JAVASCRIPT 기초] 자바스크립트 QnA (0) | 2022.06.12 |
[JAVASCRIPT 공부일지] 3주차 - 3 (앱 페이지 - 네비게이터 (Navigator)) (0) | 2022.06.10 |
[JAVASCRIPT 공부일지] 3주차 - 2 (리액트 기초 - 상태바(StatusBar))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