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제시>
<문제설명>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시 입출력>

<문제 해결 과정>
피보나치 수의 개념을 알고 코드로 구현하는 문제였다. 앞선 두 수와 합해지는 수, 총 3개의 변수로 나누어
구현해보았다.
Answer 1)
int i = 0;
int k = 1;
int r = i + k;
int cnt = 0;
while(N >= temp.size()) {
if(temp.size() <= N) {
temp.add(i);
cnt++;
}
if(temp.size() <= N) {
temp.add(k);
cnt++;
}
if(temp.size() <= N) {
temp.add(r);
cnt++;
}
i = k + r;
k = r + i;
r = i + k;
}
리스트의 크기가 N 만큼 커질때까지 리스트에 i, k, r을 넣는다.
그 후 while문의 끝에서
i = k + r;
k = r + i;
r = i + k;
처럼 값을 업데이트해준다.
초기값은 i = 0, k = 1, r = i + k; 이다.
<전체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Integer> temp = new ArrayList<>();
int i = 0;
int k = 1;
int r = i + k;
int cnt = 0;
while(N >= temp.size()) {
if(temp.size() <= N) {
temp.add(i);
cnt++;
}
if(temp.size() <= N) {
temp.add(k);
cnt++;
}
if(temp.size() <= N) {
temp.add(r);
cnt++;
}
i = k + r;
k = r + i;
r = i + k;
}
System.out.println(temp.get(temp.size() - 1));
}
}
비효율적인 코드가 많지만 i,k,r이라는 변수에 순환구조로 값을 업데이트해가면서 구할 수 있었다.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0
10870번: 피보나치 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Algorithm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꼬마 정민' - Java (0) | 2024.06.01 |
---|---|
[백준] '모음의 개수' - Java (0) | 2024.06.01 |
[백준] '팩토리얼' - Java (0) | 2023.07.19 |
[백준] '좌표 압축' - Java (0) | 2023.07.19 |
[백준] '좌표 정렬하기' - Java (0) | 2023.07.18 |
<문제 제시>
<문제설명>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시 입출력>

<문제 해결 과정>
피보나치 수의 개념을 알고 코드로 구현하는 문제였다. 앞선 두 수와 합해지는 수, 총 3개의 변수로 나누어
구현해보았다.
Answer 1)
int i = 0;
int k = 1;
int r = i + k;
int cnt = 0;
while(N >= temp.size()) {
if(temp.size() <= N) {
temp.add(i);
cnt++;
}
if(temp.size() <= N) {
temp.add(k);
cnt++;
}
if(temp.size() <= N) {
temp.add(r);
cnt++;
}
i = k + r;
k = r + i;
r = i + k;
}
리스트의 크기가 N 만큼 커질때까지 리스트에 i, k, r을 넣는다.
그 후 while문의 끝에서
i = k + r;
k = r + i;
r = i + k;
처럼 값을 업데이트해준다.
초기값은 i = 0, k = 1, r = i + k; 이다.
<전체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Integer> temp = new ArrayList<>();
int i = 0;
int k = 1;
int r = i + k;
int cnt = 0;
while(N >= temp.size()) {
if(temp.size() <= N) {
temp.add(i);
cnt++;
}
if(temp.size() <= N) {
temp.add(k);
cnt++;
}
if(temp.size() <= N) {
temp.add(r);
cnt++;
}
i = k + r;
k = r + i;
r = i + k;
}
System.out.println(temp.get(temp.size() - 1));
}
}
비효율적인 코드가 많지만 i,k,r이라는 변수에 순환구조로 값을 업데이트해가면서 구할 수 있었다.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0
10870번: 피보나치 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Algorithm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꼬마 정민' - Java (0) | 2024.06.01 |
---|---|
[백준] '모음의 개수' - Java (0) | 2024.06.01 |
[백준] '팩토리얼' - Java (0) | 2023.07.19 |
[백준] '좌표 압축' - Java (0) | 2023.07.19 |
[백준] '좌표 정렬하기' - Java (0) | 2023.07.18 |